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궁금증 해결

소방공무원 시험과목 일정

반응형

소방공무원 시험과목 및 계급

소방공무원 시험 과목 일정

소방공무원 시험

 

요 근래들어 몇년간 소방공무원 채용인원을 지켜보게 되면 굉장히 깜짝 놀랄정도로 많아졌습니다.

 

지난해만해도 5천명대의 대규모 채용을 하였고, 이번 2020년 소방공무원 채용인원도 공채,특채 모두 합쳐서 5천명을 넘어서게 되었습니다.

소방공무원 시험과목

이중 소방사 공채만 하더라도 2969명을 채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상황이 지속이 되다보니 소방공무원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마음이 넉넉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최근 경쟁률을 보시게되면 예전과 비교를 할 수 없을 정도인데 대체로 지역마다 10대 1 안팎의 비교적 낮은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렇기때문에 예전보다 소방공무원 시험 준비에 몰두하셔야 하는데,

 

 

지금과 같은 대규모 채용이 유지되다보니 2022년을 넘어가게 될 경우 지금보다 합격률이 훨씬 어려워 지게 됩니다.

 

소방공무원 시험과목 일정

2022년 합격률이 어려워지는 이유

 

원래의 결원에 의한 선발이 진행되어 왔던 예정 채용인원을 보게되면 년마다 1500~2000명 정도의 수준이였습니다. 현재 인원에 비하면 절반도 되지않는 수준인 것입니다.

소방공무원 시험 일정

그렇다보니 지원자 수가 유지가 되다보면 당연히 경쟁률도 2배이상 올라가고 합격 가능성도 지금의 절반밖에 되지 못하게 되는것입니다.

 

이렇다보니 소방공무원 시험준비를 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한시라도 빨리 소방관준비를 서두르셔야 합니다.

소방공무원 시험과목

특히 시험은 단한번밖에 없는것에 비해서 공무원시험은 단 한번에 합격한다는 것은 사실상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기에 2021년, 2022년 주어진 기회는 단 두번안에 무조건 필사적으로 준비를 하셔서 합격을 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시험과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방공무원 시험과목

 

공시생분들이 준비해야하는 공개채용 시험에는 크게 필기시험, 체력시험, 신체검사, 면접시험 총 4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1. 필기시험

 

  • 필수과목: 영어,국어,한국사

  • 선택과목: 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사회, 과학, 행정법 중 2가지 과목 선택

합격점수는 모든과목 40점이상으로 전 과목 평균 60점이 넘어야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1차이다보니 예정 선발인원의 3배수 범위에서 결정하게 되는데,

 

 

2022년에는 행정법총론, 한국사, 영어,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이 5가지 과목 모두 필수과목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 체력시험

 

  • 6종목의 시험: 제자리 멀리뛰기, 배근력, 악력, 윗몸일으키기, 왕복오래달리기, 앉아윗몸 굽히기

  • 합격점수: 총 60점중 30점 이상 받을 시 합격

체력시험 같은 경우에는 성별에 따라 점수기준이 다르다는 것을 인지해주시길 바랍니다.

 

3. 신체검사

 

신체검사는 체격, 시력, 색각, 청력, 혈압, 운동신경 6가지를 검사받게되는데, 검사하는 이유는 직무수행에 필요한 신체검사를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4. 면접시험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과 적격성 및 발전성을 검정하기 위해 단계별로 면접을 보게됩니다.

 

  • 1단계: 전문지식 기술과 그 응용능력, 의사발표의 논리성과 정확성, 의지력,창의력 이 밖의 발전가능성 : 각각 10점

  • 2단계: 예의,품행,성실성 및 봉사정신 : 10점 소방공무원으로의 적성: 20점

소방공무원 시험일정

2021년 시험일정은 아직 정해진 것은 없지만, 여태동안 진행되어왔던 시험 일정을 보고 예측을 할 수 있습니다.

 

  • 필기 시험: 4월 초에 진행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체력 시험: 4월 말~ 5월 초에 진행 될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 면접 시험: 6월 중으로 보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2018년도,19년도를 보게되시면 위와같이 진행되어왔지만 이번 20년도 같은경우에는 코로나로 인해 연기가 되었기 때문에 21년 또한 연기 될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반응형